refresh token1 [Spring] 로컬 캐시를 활용한 Refresh Token 구현기 (feat. Caffeine) 들어가기 전에 쉽게 이해하는 Spring Security + JWT 로그인 구현기에 이어 이번엔 로컬 캐시 라이브러리인 Caffeine을 활용해서 Refresh Token을 구현한 경험을 남겨보고자 한다. 이 게시물은 이미 Refresh Token을 적용해야 하는 이유를 알고 계신 분들이 볼 것 같아서 Refresh Token이 필요한 이유나 프로세스는 생략하며 아래 첨부된 코드들에는 로그아웃이나 다른 기능을 위한 로직은 존재하지 않는다. 01. DB가 아닌 캐시를 선택한 이유 Refresh Token 구현에 DB를 사용할 것인가, 캐시를 사용할 것인가를 고민했다. 우선 고려해야 할 것은 Access token의 유효 시간이 굉장히 짧기 때문에 계속해서 Refresh token을 통해 재발급 받아야 한다.. 2023. 5.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