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기 전에
그동안 AWS 서버 인스턴스 생성만 해봤는데 F-lab에서 크레딧을 제공해줘서 처음으로 NCP를 사용하게 되면서 해당 과정을 정리해봤다. ACG 설정만 조금 주의하면 아주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NCP 서버 생성
2. 포트포워딩 설정
3. ACG 규칙 설정
4. 공인 IP 할당
5. ssh 접속
1️⃣ NCP 서버 생성
1. 로그인 후 홈페이지 우측 상단에 위치한 콘솔 버튼을 클릭한다.
2. 좌측에 있는 Server 탭을 클릭하고 서버 생성 버튼을 누른다.
3. 본인의 프로젝트와 맞는 서버 이미지를 선택한다.
- 부팅 디스크 크기 : 50GB
- 이미지타입 : OS
- OS 이미지타입 : Ubuntu
- 서버 타입 : Compact
- 서버 이미지 이름 : ubuntu-18.04
나는 Compact 버전으로 선택했지만 프리티어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Micro를 선택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원하지 않는 과금이 발생할 수 있다.
4. 이전 단계에서 설정한 서버 이미지에 대한 설정을 선택한다.
- Zone 선택 : KR-2
- 스토리지 종류 : HDD
- HDD 선택 시 시간 당 37원, 월 26,000원
- SSD 선택 시 시간 당 48원, 월 34,000원
- 서버 세대 : g1
- 서버 타입 : Compact - [Compact] vCPU 1개, 메모리 2GB, 디스크 50GB[g1]
- 요금제 선택 : 시간 요금제
- 서버 이름 : 프로젝트명
- 반납 보호 : 설정
나는 가격이 더 저렴한 HDD를 선택했다. 아마 프리티어에서는 선택권이 없었던 걸로 기억한다. 각 서버의 스펙은 NCP 홈페이지 내 요금 안내 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하므로 미리 결정하고 설정을 완료하면 된다.
그리고 한 달을 꽉 채워서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시간 요금제로 해야 사용하는 시간만 계산해서 청구되기 때문에 놓치지 말자!
5. 인증키를 설정한다.
처음 생성하는 경우에는 스크린샷처럼 인증키 이름을 자유롭게 기입하고 인증키 생성 및 저장 버튼을 누르면 된다.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삭제하면 안되고 안전한 곳에 저장해놔야 한다.
만약 보유하고 있는 인증키가 있다면 선택하면 된다.
6. 네트워크 접근 설정을 위해 ACG를 생성하거나 선택한다.
네트워크 접근에 대한 제어와 관리를 해주기 위해 ACG를 생성하거나 선택한다. 서버를 생성하고 난 이후에 ACG 자체를 다른 ACG로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잘 선택해야 한다. 나는 여기서 기본값으로 생성되어있던 ACG를 선택했지만 따로 포트를 추가해서 관리하는 경우에는 새롭게 ACG를 생성하는 게 관리하기 편할 수 있다.
ACG를 미리 생성하려면 ACG 페이지에서 생성 버튼을 누르고 간단히 정보를 입력만 하면 된다.
7. 서버 생성이 완료될 때까지 수 분 ~ 수십 분을 대기한다.
몇 차례 해봤을 때 10분 내외로 모두 생성이 됐었다. 생성 완료된 서버는 상태가 초록색의 운영중 표시로 변경된다.
2️⃣ 포트포워딩 설정
1. 서버 관리 화면에서 서버를 클릭해 상세정보의 포트포워딩 설정 창 버튼을 누른다.
2. 서버 접속용 외부포트를 추가한다. (1,024 ~ 65,534 범위 내 선택)
원하는 포트 번호를 선택해서 입력하고 추가한다. 여기서 설정하는 포트는 서버 접속용이기 때문에 서비스 목적의 포트 연결은 공인 IP를 할당하고 ACG에 추가해줘야 한다.
3️⃣ ACG 규칙 설정
1. 설정을 추가하려는 ACG를 선택한 후 ACG 설정 버튼을 누른다.
2. 프로토콜와 접근 소스 그리고 허용 포트를 기입하여 추가한다.
4️⃣ 공인 IP 할당
외부에서 서비스 용도로 사용할 서버라면 공인 IP를 할당해야 한다.
1. Pulic IP 화면에서 공인 IP 신청 버튼을 클릭한다.
2. 적용 서버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누른다.
- Zone : KR-2
- 적용 서버 선택 : 생성한 서버
3. 공인 IP 신청 정보를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주의할 점은 월 이용료 4,032원이 발생한다는 것과 사용하지 않고 보유만 해도 과금된다는 것이다.
5️⃣ ssh 접속
접속하기 위해서는 먼저 관리자 비밀번호를 확인해야 한다.
1. 서버 관리 화면에서 서버 관리 및 설정 변경 - 관리자 비밀번호 확인을 누른다.
2. 서버 생성 시 저장했던 인증키 파일을 첨부하고 비밀번호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3. 화면에 출력된 관리자 비밀번호를 확인한다.
4. 서버 접속용 공인 IP와 외부포트를 활용해서 서버에 접속한다. 이때 앞서 확인한 관리자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
ssh -l root -p [포트번호] [서버접속용IP]
5. 관리자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su
passwd
'노트 > F-la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Actions: CI/CD 구축 (feat.shell script) - 실전편 (2) | 2023.06.04 |
---|---|
Github Actions: CI/CD 구축 (feat.shell script) - 준비편 (0) | 2023.06.04 |
Spring REST Docs를 선택한 이유 (0) | 2023.04.08 |
Lombok을 사용하지 말라고? (0) | 2023.03.25 |
개발 스펙 정하기 (0) | 2023.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