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SS(Cross-Site Scripting)의 공격 방법과 대응 방안
·
Web
XSS란 웹사이트에 악성 스크립트를 주입하는 행위를 말한다. 해커는 사람들이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웹사이트에 악성 스크립트를 주입하고, 주입된 스크립트가 포함된 게시글을 열람한 피해자들의 쿠키가 해커에게 전송된다. 이를 통해 해커는 피해자의 브라우저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해 다음과 같은 행위를 시도 할 수 있다. - 사용자의 세션 가로채기 - 웹사이트 변조 - 악의적인 컨텐츠 삽입 - 피싱 공격 공격 대상과 주요 목적 스크립트 언어와 취약한 코드를 공격 대상으로 하며, 주요 목적은 사용자의 정보를 도용하는 것으로 로그인 입력란을 감염시켜 로그인 세부 정보와 쿠키를 탈취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세 가지 유형 1. 반사형 XSS(Non-persistent XSS, Reflected XSS)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
SQL Injection의 공격 방법과 대응 방안
·
Web
SQL Injection이란 악의적인 사용자가 보안상의 취약점을 이용해 클라이언트의 입력값을 조작하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공격하는 방식이다. 주로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제대로 필터링, 이스케이핑하지 못했을 때 발생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온라인 커뮤니티들이 SQL Injection으로 인해 회원정보를 유출시킨 적이 있다. 관련 기사 확인하기 SQL 인젝션은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WAS)로 들어온 웹 요청을 처리한 결과가 DB 내용을 조회하거나 제어할 때 쓰는 SQL로 동작하게 만드는 공격 기법이다. SQL을 처리해 결과로 내보내는 게 DB의 기본 동작이지만, 통상적인 웹 요청은 SQL로 동작해선 안 된다. 누군가 마음대로 권한이 높은 계정을 만들 수도 있고 데이터를 지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알기 쉬운..
CPU 캐시 메모리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혼자 보는 정리 노트] 운영체제(8) : 운영체제 구조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혼자 보는 정리 노트] 운영체제(7) : 운영체제 서비스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혼자 보는 정리 노트] 운영체제(6) : 운영체제 기능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혼자 보는 정리 노트] 운영체제(5) : 운영체제의 발전 과정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혼자 보는 정리 노트] 운영체제(4) : 운영체제의 유형별 특징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혼자 보는 정리 노트] 운영체제(3) : 운영체제의 역할과 목적
·
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